문자열이란

문자열(String)이란 문자를 나열해 놓은 것을 의미한다. 문자는 a, b, c 같은 알파벳과, 가나다 같은 한글, 1,2,3 같은 숫자,!@#같은 특수문자 등 유니코드 내에 문자를 의미한다.

"Hello World"
"123456789"
"010-1234-5678"
"!@#$"

문자열의 표현

파이썬에서는 문자열을 쌍따옴표"로도 나타낼 수 있지만 작은 따옴표'로 나타낼 수도 있다.

str1 = "abc"
str2 = 'abc'
print(True if str1 == str2 else False)

위 예제의 print함수는 두 문자열이 같으면 True를 다르면 False를 출력하는 함수입니다. 두 문자열은 그 내부적으로는 서로 같습니다. 파이썬 내부에서는 기본적으로 문자열을 작은 따옴표로 묶여 있는 것으로 표시된다.

위의 방법 외에도 여러 줄의 문자열을 위해서 여러 줄의 문자열을 한 번에 나타내는 방법이 있다.
큰 따옴표나 작은 따옴표를 3개를 사용해서 나타낸다.
첫번째 줄

str3 = """첫 번째 줄
두 번째 줄
세 번째 줄
"""
print(str3)


이스케이프 문자

이스케이프 문자란 줄바꿈, 띄워쓰기 등 여러 기능을 위해 미리 정해놓은 문자 집합이다..
가장 자주 볼 수 있는 문자는 \n, \t, \\이 있다.

str4 = "첫번째\n두번째\n세번째"
str5 = "1\t2\t3\t4"
str6 = "8\t9\t10\t11"
print(str4)
print(str5)
print(str6)

코드 설명 코드 설명
\n 문자열 안에서 줄을 바꿀 때 사용 \r 캐리지 리턴(줄 바꿈 문자, 현재 커서를 가장 앞으로 이동)
\t 문자열 사이에 탭 간격을 줄 때 사용 \f 폼 피드(줄 바꿈 문자, 현재 커서를 다음 줄로 이동)
\\ 문자 \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\a 벨 소리(출력할 때 소리가 나게함)
\' 작은 따옴표를 표현할 때 사용 \b 백 스페이스
\" 큰 따옴표를 표현할 때 사용 \0 널문자

문자열의 연산

문자열 더하기(Concatenation)

문자열은 문자열끼리 더하기가 가능하다. 문자열의 덧셈은 각 요소를 더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열 뒤에 문자열을 추가한다고 생각하면 된다.

str1 = "Hello"
str2 = " World"
str3 = str1 + str2
print(str3)

문자열 곱셈(반복)

문자열의 곱셈은 곱하는 수만큼의 반복을 의미한다.

str1 = 'Hello '
str2 = str1 * 3
print(str2)

 

2 * 3 = 2 + 2 + 2 인 것을 생각해보면 문자열의 곱셈이 의미하는 것을 알 수 있다. str2 = str1 + str1 + str1이므로 "Hello "라는 문자열을 3번 이어붙인 것이다.

 

 

문자열의 기본 함수에 대해서는 다음에 포스팅하겠습니다.

'프로그래밍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Python] 소수 판별 알고리즘  (0) 2021.10.11
[Python] 리스트 함수 정리  (0) 2021.09.19
[Python] 자료형 - (3) 리스트  (0) 2021.09.14
[Python] 자료형 - (1) 숫자형  (0) 2021.09.14
[Python] 순열과 조합 itertools  (0) 2021.07.18

 

[파이썬] 자료형 - (1) 숫자형

숫자형은 우리가 사용하는 숫자(number)를 나타내는 자료형입니다.
예를 들어 1234나 -1234 같은 정수형과 12.34 같은 실수형이 대표적인 표현 방법이며 2진수, 8진수, 16진수로 나타낸 수도 수를 표현하는 방법입니다.


정수형

정수형은 우리가 가장 잘 아는 양의 정수, 음의 정수, 0을 뜻하는 자료형입니다.

a = 123
b = -178
c = 0

위에서 a, b, c 모두 정수를 의미합니다.


진법

파이썬에서 기본 제공되는 진법 표기는 2진수, 8진수, 16진수가 있습니다.

base_2 = 0b1111
base_8 = 0o0017
base_16 = 0x000F
base_10 = 15

print(base_2, type(base_2))
print(base_8, type(base_8))
print(base_16, type(base_16))
print(base_10, type(base_10))

위의 모든 값들은 print()함수에 넣게 되면 정수 값인 15를 출력하고 type() 함수의 출력을 보면 모두 int로 출력됩니다. 눈으로 보기에는 다른 수 같지만 컴퓨터의 입장에서는 모두 같은 수이기 때문입니다.

<출력 결과>


실수형

실수형은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를 의미합니다.

f1 = .1
f2 = 0.1
f3 = -3.14
f4 = 1.23e4

f1처럼 소수점 앞의 0은 생략이 가능합니다. 1.23e4지수 표현 방식이라고 합니다. $$ 1.23 * 10^4 $$을 의미하고 소문자 e, 대문자 E 모두 사용이 가능합니다.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서 무제한 값을 설정할 때 1e9와 같은 수를 많이 쓰기도 합니다.

 

 

 

'프로그래밍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Python] 소수 판별 알고리즘  (0) 2021.10.11
[Python] 리스트 함수 정리  (0) 2021.09.19
[Python] 자료형 - (3) 리스트  (0) 2021.09.14
[Python] 자료형 - (2) 문자열  (0) 2021.09.14
[Python] 순열과 조합 itertools  (0) 2021.07.18

+ Recent posts